사업의 목적
|
저소득층 영.아 및 아동, 청소년의 교육의 기회, 과정, 결과에서 나타나는 주요 취약성을 최대한 보완하기 위한 다차원(교육, 문화, 복지 등)적 지원 사업이다.
|
학교가 중심이 되는 지역교육공동체 구축을 통해 학습, 문화, 심리 정서 등 삶의 제반에 대한 지원을 함으로써 저소득층 아동.청소년의 교육적 취약성을 해결해 나가고자 한다.
|
|
|
추진 배경
|
계층 간 소득 격차의 심화, 가정의 기능 약화, 급격한 도시화 등이 초래하는 사회통합 위기에 학교와 지역사회가 적극적으로 대처할 필요성 증대
|
지역의 경제적 여건 차이로 인한 교육 여건의 격차 또한 확대되고 있는 추세
|
|
교육 문화적 조건이 상대적으로 열악한 도시 저소득층 밀집 지역의 교육 및 문화적 기회 불평등 완화 정책 추진이 시급한 실정
|
|
|
의의
|
저소득층 아동의 생활 및 교육환경 변화를 추구하는 지역접근
|
저소득층 아동들을 위하여 지역사회의 교육적 환경을 전반적으로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
|
|
학교를 중심으로 하여 지역사회의 교육공동체 구축
|
저소득층 아동.청소년의 실질적 교육 기회 보장을 위한 지역사회 차원의 교육 문화 복지통합 서비스망 구축
|
학교가 지역사회 교육.문화.복지 통합 서비스망의 중심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투자우선지역 내 학교의 기능 강화
|
|
조기 개입을 통한 출발점 평등 구현을 통해 교육기회를 실질적으로 보장
|
아동의 발달 단계에 따른 기본적 욕구해결과 문제행동 예방
|
학력향상, 정서발달, 심성계발, 건강증진, 방과 후 보육서비스 제고 등 다양하고 통합적인 교육복지 서비스 제공
|
|